Brand > ASUS > Technology.


Super Alloy Power
작성자  |  STiCH 작성일  |  2023-08-02 (02:42)
이메일  |  sting107@outlook.com 조회수  |  1135

ASUS Super Alloy Power

메인보드나 그래픽 카드처럼 PC 컴포넌트를 제조하는 기업이라면 대부분 안정성이나 내구성과 관련된 기술에 신경을 쓰기 마련입니다. 특히 브랜드 가치가 높은 기업일수록 울트라 듀러블이나 밀리터리 클래스처럼 명칭을 붙여 최신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에이수스 역시 이에 해당하는 기술이 존재하는데 타사와 비교했을 때 특이하다고 볼 수 있는 구석이 있습니다. 안정성 및 내구성을 골자로 하는 기술들은 대체로 메인보드 분야에서 선보이는 경우가 많았지만, 에이수스는 그래픽 카드 분야에서 이를 강조하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메인보드로 시작한 다른 기술들이 그래픽 카드까지 영역을 넓혀가며 적용 되었듯이, 그래픽 카드에서 시작된 에이수스의 Super Alloy Power 기술 역시 메인보드 제품군에서도 해당 기술이 접목된 흔적들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기도 합니다.


ASUS Super Alloy Power - VGA


▒ Super Alloy CAP

먼저 내구성 관련 기술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인 캐패시터입니다. 오늘날에야 솔리드 캐패시터를 쓰지 않은 제품을 찾아보는게 빠를 정도지만, 특허 만료 이전인 2000년대 중반까지는 솔리드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이 고급의 상징과 같았기에 약방의 감초처럼 어김없이 등장했습니다.

여기에 그래픽 카드의 특성 덕분에 도입된 캐패시터 관련 기술로 SAP CAP(Super Alloy Power CAPacitor)도 함께 언급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원통형 대신 직사각형 칩 형태의 솔리드 캐패시터로 파나소닉의 탄탈 폴리머 기반의 고급 브랜드인 POSCAP으로도 유명한 형상입니다.

이러한 칩 형태의 캐패시터는 앞서 언급한 POSCAP과 알루미늄 폴리머 기반의 SP-Cap이 주로 사용됩니다.

우수한 저항 특성(Low ESR) 및 고주파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GPU 후면처럼 좁은 면적에서 주로 사용되는 적층식 세라믹 캐패시터(MLCC)보다 큰 용량을 제어할 수 있어 고품질 전력을 더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오버클럭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Super Alloy Capacitor - Solid Capacitor Super Alloy Capacitor - POSCAP & Sp-CAP


▒ Super Alloy MOS

모스펫 역시 안정성과 내구성 강화의 단골 소재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 LowRDS(on) 특성에 기반한 발열량 감소를 전면에 내세우는데 반해, Super Alloy MOS의 경우 최대 30% 더 높은 문턱 전압 특성을 강조했습니다. 받아들이기에 따라서는 민감한 소재가 될 수도 있는 변화로 동작에 필요한 전압이 높아지는만큼 미세 전력 효율에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전자기 노이즈에 영향을 덜 받고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어 기본적으로 소비하는 전력량 자체가 많은 그래픽 카드에 더 적합한 설계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D-Pak 타입의 일반 모스펫보다 더 작은 면적, 저발열이라는 공통적인 특징도 빠지지 않고 언급되었습니다.


ASUS Super Alloy MOS


▒ Super Alloy CHOKE

이전까지 초크는 캐패시터나 모스펫에 비해 조명을 받는 경우가 드물었지만, 그래픽 카드가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중요도가 급부상한 케이스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슈퍼 알로이 파워 기술이 막 발표된 시기에는 링 코일로도 불리는 트로이달 초크까지 종종 사용되던 시기였습니다. 성능이 낮은 보급형 제품군에서는 큰 문제가 아니었지만, 중급기 이상의 고성능 그래픽 카드로 갈수록 전력 소비량이 늘어나 전류를 감당하지 못한 초크들이 진동하면서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을 정도인 가청대역 고주파 노이즈를 유발해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이 점에서 착안해 에이수스가 Super Alloy Choke를 소개할 때 강조한 특징이 정숙함(buzz-free)으로 콘크리트 공법처럼 코일을 특수 합금 소재로 채운 뒤 고온고압으로 찍어내고 굳혀 진동을 방지합니다. 초크에 사용되는 코어는 절연특성과 자성이 특징이며, 이를 만족하는 비금속 합금은 오늘날에도 주로 사용되는 페라이트 소재임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ASUS Super Alloy CHOKE


▌ASUS Super Alloy Power

▒ 에이수스 슈퍼 알로이 파워

안정성과 내구성에 관련된 여느 기술들이 그렇듯이 슈퍼 알로이 파워도 캐패시터, 초크, 모스펫이 주요 강화 소재로 채택된 기술입니다. 다만 여기서 추가된 차별화 요소로 당시에는 일반적이던 아날로그 VRM(Voltage Regulator Module) 제어를 디지털 기반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제어로 전환하던 시점이었기 때문에 Digi+ VRM 기술도 함께 강조되었습니다.

해당 기술들은 이후로도 꾸준히 에이수스 그래픽 카드에 적용되었고, 2015년 즈음 한 차례 업그레이드된 Super Alloy Power II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앞서 소개했던 기술들이 모두 적용되었고, 그 중에서도 모스펫은 당시 최신 기술로 부상한 Dr.MOS 를 채택한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Auto-Extreme Technology 라는 자동화 공정의 일환으로 PCB 기판의 구멍으로 통과시킨 리드선을 납땜하는 DIP 방식이 아닌, PCB 표면에 금속 터미널을 접합시키는 SMD(Surface Mount Device) 방식의 부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균일한 품질을 보장합니다.


ASUS Super Alloy Power II


ASUS 리스트 리스트